찬성측 “자연환경도 중요하지만 사람이 먼저…신체 부자유스러운 사람들에 대한 배려 필요”
반대측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 운동에 도움 안 돼…폐교 등 대안 부지 적극 물색도 해봐야” 제안도
[가야일보=심양보 기자] 부산대학교가 2021년 개교 예정인 특수학교 추진과 관련, 지난 6월 10일 부산시의회에서 열린 공청회 개최에 이어 다시 시민·환경단체들을 초청해 간담회를 개최했다.
25일 부산대학교(총장 전호환)에 따르면 지난 23일 오후 교내 상남국제회관 1층 문창홀에서 특수학교 설립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설명하고, 자연생태환경 보존 등에 대한 시민·환경단체의 다양한 의견을 청취하는 등 상생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초청 간담회를 열었다.
부산대 부설 특수학교는 정원 138명의 소규모 특수학교로, 전국 단위의 장애학생이 교육받게 될 예술 중·고등학교로 부산대 인근 금정산에 설립될 예정이다. 사회적 교육 취약계층이라고 할 수 있는 장애학생을 위한 특수학교 설립을 위해 부산대와 교육부가 지난해 12월 전국 최초로 국립대 부설 특수학교 설립을 위한 설계비 13.6억 원을 확보하면서 2021년 개교를 목표로 추진 중이다.
이를 통해 부산대는 장애학생을 위한 공교육의 책무성을 수행하고, 부산대의 예술‧특수교육 관련 전문인력과 특성화된 교육인프라를 활용해 전국 최고 수준의 장애학생 교육을 제공할 계획이다. 향후 예술적 재능을 가진 장애학생을 조기에 발굴해 중·고교 6년간 체계적이고 질 높은 예술교육을 시행하게 된다.
부산대 관계자는 이날 “국내에 예술중학교 9개교, 예술고등학교 29개교가 운영되고 있지만 모두 비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하며, 특수학급조차 설치되어 있지 않아 장애학생들이 예술교육에서 소외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면서 “부산대 사범대학·예술대학과 부설 특수학교가 연계하여 교육을 제공한다면, 장애학생의 예술 진로 개척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부산대는 친환경적인 토목·건축으로 숲의 가치를 높이는 학교를 건축하고, 예정 부지의 소나무 등 수목도 다른 장소에 이식해 보존 활용하는 방법 등 자연훼손을 최소화 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교육부의 ‘건축디자인 시범사업’으로 지정됨에 따라 사업의 특수성을 고려해 역량 있는 우수 해외 건축가의 참여를 위한 「국제지명 설계공모」로 추진할 계획이다.
부산대는 국립대의 공익적 책무성을 바탕으로 부산대의 예술대·사범대와 근거리에 위치한 부지를 선정했고, 특히 특수학교 이외의 부산대 금정산 부지의 추가 개발 계획이 없음을 수차례 밝혀 왔다.
지난 6월 공청회에 이어 다시 개최된 이번 간담회에는 부산특수학교학부모회와 (사)녹색교통운동시민본부, (사)환경실천연합, 부산환경운동연합, 녹색연합 등 14개 시민사회단체 및 환경단체와 부산대·교육부·부산시·부산교육청 관계자가 함께 참석했다.
다만 찬-반 단체들 간의 다른 입장차를 감안해 낮 12시에는 특수학교 설립에 찬성 또는 비판적 찬성 입장을 견지한 9개 단체와의 1차 간담회를 먼저 개최한 뒤, 오후 1시30분에는 특수학교 설립에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있는 5개 환경단체와의 2차 간담회를 진행했다.
두 차례 간담회를 시작하며 김석수 부산대 기획처장은 “특수학교 설립은 너무나 중차대한 문제이기 때문에 좋은 방향으로 갈 수 있도록 지혜를 모아주시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날 1차 토론회에서 정창식 (사)녹색교통운동시민본부 이사장은 “장애인 권익이 환경운동보다 우선이라고 생각한다”며 “부산대는 부산시민의 대학이므로 경남 양산캠퍼스로 추진하는 것은 부적합하며, 학생들의 통학이나 접근성 그리고 음악과 미술 등 인프라를 고려했을 때는 부산으로 입지를 정하는 것이 옳아 보인다”는 의견을 냈다.
김홍숙 한국환경연합중앙회 상임고문은 “특수학교 설립이 국책사업에 준하는 사업으로 반대할 이유는 없다”며 “환경보다는 사람이 우선이고, 신체가 부자연스러운 사람들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 또 부산대학교 예술대의 인재를 활용할 수 있는 기회라는 점에서 옳은 사업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강종인 금정산 국립공원시민추진본부 상임대표는 “난개발은 지양해야 하지만, 자연환경보다는 인간이 먼저라고 생각한다”며 “그러나 오늘 이 자리에서 나무를 얼마나 훼손하는지, 환경 훼손에 대한 대책은 무엇인지 설명이 부족하고 구체적인 계획이 없는 상태에서는 찬성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김석주 한국자폐인사랑협회 부지부장은 “나무 1그루를 위해 1인시위를 하는 사람들을 존경한다”며 “그런 분들이라면 장애인 특수학교 설립에도 도움을 주실 것이라 생각하며, 사교육비로 재능이 있어도 쉽게 교육받을 수 없고 장애인 대부분이 학교에서 거부당하는 상황에서 특수학교가 설립되면 세계적인 인물이 성장할 수 있다”며 응원을 당부했다.
이에 대해 박창배 부산대 캠퍼스기획부처장은 “현재 추진하고 있는 부지는 개발제한구역 외의 부지이므로 오해가 없으시면 좋겠다”며 “지금의 행정단계는 편의시설을 비롯해 구체적인 계획이 나올 단계가 아닌 점을 양해해 주시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어진 2차 간담회에서 민은주 부산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특수학교 설립 자체에 대해서는 반대를 하지 않는다"면서도 ”적극적인 대안 모색이 필요하며 녹지에 대한 훼손이 없기를 바란다. 적게나마 있는 공원부지마저 변경시키는 데 우려가 있다. 예를 들면 폐교 이용 가능성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강호열 (사)대천천네트워크 사무처장은 “특수학교 설립의 취지나 기대효과는 공감하지만, 현재 금정산국립공원 지정이 추진 중이고, 난개발의 위험이 있어 금정산을 좀 더 보호해야 한다. 특수학교 설립으로 대치되고 있는 시점에서 나무훼손이나 자연파괴는 안 된다”며 "학교 내 대안부지 물색이나 규모 축소 등을 검토할 것"을 요구했다.
이 외에 이성근 그린트러스트 상임이사와 김수정 녹색연합 국장 등도 금정산 외의 다른 대안부지 물색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와 관련, 부산교육청 조희담 장학관은 “폐교 부지에 대해 12~13개 부지를 검토했으나 모두 사전계획이 되어 있었고, 장애학생 수가 10년 전에 비해 1,000여 명이 늘어난 반면 부산시내 16개 구군 중에 6곳은 특수학교가 아예 없는 상황”이라며 “국립 특수학교가 들어설 수 있다는 것은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필요성을 주장했다.
한편, 부산대는 이번 간담회에서 건의된 찬-반 의견과 내용을 검토해 관계부서에서 개선 계획을 수립해나갈 계획이다. 이번 논란으로 어렵게 확보한 국비예산 설계비 13억여원에 대해 연말까지 사용게획이라도 확정해야 하는 상황이라 일정이 촉박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